|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리터당과 리터에]
안녕하세요.
오늘은 편지가 좀 늦었네요. 아침부터 농업공학연구소, 원예연구소, 축산연구소를 싸돌아다니느라 늦었습니다.
요즘 기름 값 너무 비싸죠? 노는 것은 좋은데 기름 값 비싸서 밖에 나가기는 겁납니다. 오늘은 기름 값 이야기로 두 가지를 풀어볼게요.
먼저, 기름값 표시입니다. 모든 주유소는 기름 가격을 표시해야 하는데 대부분 1,800원/l(필기체)라고 씁니다. 액체의 단위인 리터는 l(필기체)가 아니라 소문자 엘(l) 이나 대문자 엘(L)로 써야 바릅니다. 그런데도 거의 모든 주유소에서 필기체 엘(l)을 단위로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먹는 생수도 대부분 필기체 엘(l)을 단위로 쓰고 있습니다.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나 봅니다. 분명히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액체의 단위인 리터는 l(필기체)가 아니라 소문자 엘(l) 이나 대문자 엘(L)로 써야 바르다고 나와 있는데 그것도 틀렸나 봅니다.
다른 하나는 그것을 읽는 방법입니다. '1,800원/l'를 대부분 [리터당 천팔백원]이라고 읽습니다. 뉴스건 신문이건 그렇게 읽고 씁니다. 아시는 것처럼 '당(當)'은 씨가지(접사)로 수 또는 단위 뒤에 붙어 '마다'의 뜻을 더하는 뒷가지(접미사)입니다. 마리당 삼천 원, 시간당 얼마, 열 마리당, 40명당으로 쓸 수 있습니다. '1,800원/l'를 [리터당 천팔백원]이라고 읽는 게 맞춤법에 어긋나는 것은 아닙니다. 이 '당(當)', 한자 당을 쓰지 않으면 읽을 수 없을까요? 저라면 '1,800원/l'를 [일리터에 천팔백원]이라고 읽거나 [리터마다 천팔백원]이라고 읽겠습니다.
우리말로 바꿀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을지 모르지만, 우리말로 쉽게 바꿔쓸 수 있다면 그것은 당연히 우리말로 바꿔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