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가끔 저에게 맞춤법을 물어보시는 분이 계십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제가 아는 데까지 말씀드리고, 정확하고 자세한 것은 국립국어원 가나다전화에 물어보시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저는 정말 맞춤법을 잘 모릅니다. ^^*
며칠 전에 국립국어원에서 올 한 해 '가나다 전화'와 '온라인 가나다', 전자 우편 등으로 들어온 질문 30,749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네요. 그걸 보면 가장 많은 질문은 '-에요'와 '-예요'를 가르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다음으로 많은 질문은 '되'와 '돼'를 가르는 것이었고, 그 뒤를 이어 '로서'와 '로써'를 가르는 질문이었다고 하네요.
오늘은 국립국어원에서 누리집에 올린 그 글을 소개합니다.
고맙습니다.
참, 올 한해 우리말을 사랑하고 아껴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는 내년에도 제 힘이 닿는 데까지 우리말을 알리고 아끼는데 힘쓰고자 합니다.
거듭 고맙습니다.
성제훈 올림
우리말, 국립국어원에 들어온 가장 헷갈리는 말
자주하는 질문.hwp
올 한해도 좋은 글 써주시고 알려 주신 농촌진흥청 성제훈 박사님께 감사 드립니다.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 하시길 빕니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