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선수들이 17세 이하 여자월드컵에서 우승했습니다. 일요일 아침에 손에 땀을 쥐며 텔레비전 앞을 떠나지 못했습니다. 참으로 멋진 겨루기를 한 우리나라 선수들이 자랑스럽습니다. 제 힘껏 손뼉을 치며 축하하고 박수치며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기쁨, 찬성, 환영을 나타내거나 장단을 맞추려고 두 손뼉을 마주치는 것을 '박수'라고 합니다. 움직씨(동사)로는 '박수하다'입니다. 우리는 '박수치다'고 자주 하지만 '박수하다'가 맞습니다. 拍手에 이미 치다는 뜻이 들어 있으므로 '박수치다'고 하면 뜻이 겹치게 됩니다. 역전앞이나 처가집, 고목나무가 되는 거죠. ^^*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박수하다'만 올라 있고 '박수치다'는 오르지 않았습니다.
제 생각에 이렇게 헷갈리는 '박수치다'보다 '손뼉치다'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뜻이 겹치지도 않고, 알아듣기 쉽고, 말하기 좋고... ^^*
고맙습니다.
보태기) 1. '박수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데, '손뼉치다'는 올라 있지 않습니다. 저는 박수치거나 박수하는 것보다 손뼉을 치는 게 더 좋습니다. '손뼉치다'를 움직씨(동사)로 사전에 올리는 게 좋다고 봅니다.
2. '손에 땀을 쥐다'는 관용구를 일본에서는 手に汗をにぎる[데니 아세오 니기루]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 표현이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보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 표현이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갔는지,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넘어왔는지... 짧은 제 생각으로는 말과 문화는 달라도 기본적인 삶과 관련된 것은 서로 비슷할 수가 있다고 봅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고맙습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