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쯔끼다시를 갈음할 낱말은?]
안녕하세요.
출장 잘 다녀왔습니다. 이틀 만에 진주까지 다녀오기가 무척 벅차네요. 더군다나 교수님이나 업체 사장님까지 모신 채 뒷바라지를 하고 다니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니었습니다.
오늘은 먹는 이야기 좀 해 볼게요. 출장 가서도 잘 먹었고, 어제저녁에도 잘 먹었고 오늘도 환송회가 있어 잘 먹을 것 같습니다. ^^*
어제저녁은 횟집에서 환송회를 했습니다. 횟집에 가면 회가 나오기 전에 나오는 가벼운 안주가 있죠? 그걸 흔히 쯔끼다시라고 하죠?
그게 일본말이라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일본요리에서 본 안주가 나오기 전에 처음에 내 놓은 가벼운 안주를 つきだし[쯔끼다시]라고 한다네요.
그게 일본말이면 되도록 우리말로 바꿔 쓰는 게 낫겠죠? 요지를 안 쓰고 이쑤시개라 쓰고, 와리바시라 안 쓰고 나무젓가락이라 쓰면 훨씬 좋잖아요.
쯔끼다시를 뭐라고 바꿔 부르면 좋을지 생각해 보셨나요? 저는 초다짐과 입맷상이 어떨까 싶습니다.
'초다짐'은 "정식으로 식사하기 전에 요기나 입가심으로 음식을 조금 먹음. 또는 그 음식."을 뜻합니다. '입맷상'은 "잔치 같은 때에 큰상을 차리기 전에 먼저 간단하게 차려 대접하는 음식상"을 뜻합니다.
쯔끼다시가 큰 회가 들어오기 전에 오징어 같은 작은 횟감이 먼저 들어와 손님들의 허기진 배를 채우는 것이니 초다짐이나 입맷상이면 '쯔끼다시'를 갈음할 수 있을 겁니다.
'볼가심'이라는 낱말도 있으나 볼의 안쪽, 곧 입속을 겨우 가시는 정도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양의 음식으로 시장기를 면하는 일이므로 쯔끼다시 뜻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오늘 저녁은 고깃집에서 환송회를 하기로 해서 초다짐과 입맷상을 쓸 기회가 없겠네요. 말은 자주 써야 입에 익는데...^^* 언제 횟집에 가시면 입맷상과 초다짐을 꼭 한번 써 보세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