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쥬스]
지금부터 입 운동을 좀 해 볼까요?자 슬슬... 아래 발음을 따라 해 보세요.아, 야,어, 여,우, 유...잘 되죠?‘아’와 ‘야’ 발음이 쉽게 구별되며
‘우’와 ‘유’발음을 쉽게 구별해서 낼 수 있죠?
이번에는,주, 쥬,추, 츄,전, 젼
앞에 있는 글자와 뒤에 있는 글자 발음을 달리하실 수 있나요?스스로는 달리한다고 하실지 모르지만,그걸 남들이 들으면 다르게 받아들일까요?
우리 한글 자음 14개 가운데,ㅈ과 ㅊ 두 개는 ㅏ와 ㅑ, ㅓ와 ㅕ, ㅗ와 ㅛ, ㅜ와 ㅠ 를 가르지 못합니다.일단 그걸 외워 두고.
외래어 아시죠?외국어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우리글이나 말처럼 쓰이는 걸 외래어라고 합니다.문법적으로는 이것도 우리말에 속합니다. 당연히 맞춤법 규정에 따라 써야 합니다.이 외래어를 우리말 맞춤법에 맞게 쓰는 데는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기회가 되면 하나씩 소개드리기로 하고,오늘은 두 가지만 말씀드릴게요.첫째는 외래어 받침으로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씁니다.즉, 외래어 받침에 ㄷ, ㅈ, ㅊ 따위를 쓰면 안 됩니다.테니스 라켙, 라켇 등은 다 틀리고, 라켓이 맞고,커피숖은 틀리고 커피숍이 맞습니다.이걸 몰라서 잘못 쓰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어쨌든 중요한 것은,외래어를 표기할 때 받침은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는 겁니다.
두 번째는, ㅈ과 ㅊ 다음에 이중 모음을 쓰지 않는다는 겁니다.앞에서 말씀드린 대로,우리글에서는 ㅈ과 ㅊ 다음에 오는 ㅏ, ㅓ, ㅗ, ㅜ와 ㅑ, ㅕ, ㅛ, ㅠ를 가르지 못하기 때문에 외래어를 적을 때 그런 이중 모음을 쓰지 않습니다.우리글에서도 구별 못 하는데, 외국어를 표기하는 외래어에서 그걸 왜 쓰겠어요.따라서,텔레비젼이 아니고 텔레비전이며,쥬스가 아니고 주스고,챤스가 아니고 찬스며,비젼이 아니고 비전입니다.
이 밖에도 외래어 쓰기와 관련된 기준이 많은데요.나중에, 한참 나중에 더 설명드릴게요.오늘은 제가 좀 바빠서...저는 이만 물러갑니다.
덧붙임)워드프로세서 뭘 쓰세요?아마도 한글(HWP) 쓰시죠?그거... 그거... 요즘 많이 좋아졌습니다.지금 HWP에서
‘역활, 텔레비젼, 우리 나라’를 써 보세요.
HWP 버전 2002 이상에서는 역할, 텔레비전으로 자동으로 바뀌고,‘우리 나라’에는 빨간색 밑줄이 그어질 겁니다.참 좋죠?
근데 2002 이전 버전에서는
‘우리나라’에 빨간 줄이 그어지고,‘우리 나라’하면 통과 됐는데,지금은 그 반대니...
그 깊은 까닭은 다음 기회에...총총...쓰다보니 또 길어졌네...쩝...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