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기분 좋은 월요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제 이야기로 시작할게요. 실은 제가 작년 말에 충남대학교 교원공채에 응모한 적이 있습니다. 1차 서류심사, 2차 논문심사, 3차 공개발표까지 하고, 지난주 목요일에 4차 총장면접을 했습니다. 그 결과를 오늘 발표하는데, 저는 떨어진 것 같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아쉬움이 남는 것을 어쩔 수 없네요.
제가 대학교 교수를 너무 쉽게 봤나 봅니다. 교수 자리가 그렇게 녹록한 자리가 아닌데...
오늘은 아쉬움을 달래며 녹록과 록록, 녹녹을 갈라볼게요.
먼저, '녹녹하다'는 그림씨로 '물기나 기름기가 있어 딱딱하지 않고 좀 무르며 보드랍다.'는 뜻입니다. 녹녹하게 반죽을 하다처럼 쓰죠. 한자어가 아니라 순 우리말입니다.
녹록(碌碌/錄錄)하다도 그림씨인데, '평범하고 보잘것없다.'는 뜻과 '만만하고 호락호락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녹록하지 않은 사람/나도 이제 녹록하게 당하고만 있지는 않겠다처럼 씁니다.
록록하다는 북한에서 쓰는 말로, '녹록하다'를 그렇게 씁니다.
굳이, 억지로 말을 만들어보자면, 제가 충남대학교를 녹록하게 보고 덤빈 거죠. (녹녹하게나 록록하게가 아닙니다.) 그러니 떨어지죠. ^^*
아마도 교수가 되기에는 모든 면에서 턱없이 부족하니, 실력과 덕을 더 쌓고, 좀더 겸손해지고, 더 많이 베풀고, 더 많이 나누고 살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
앞에서는 일부러 말을 만든 것이고, 저는 절대 충남대학교를 만만하게 보거나, 호락호락하게 보거나 녹록하게 보지 않습니다. 비록 저를 떨어뜨린 학교지만, 앞으로도 계속 발전하기를 빕니다. 더불어 이번에 충남대학교 교수가 되신 정 박사님의 앞날에도 큰 발전이 있기를 빕니다.
저는 오늘부터 베풂을 실천하고자 오늘 점심때 우리 과 직원을 모두 모시고 점심을 대접하겠습니다. 충남대학교 교수 떨어진 기념(?)으로...^^*
고맙습니다.
우리말 123
보태기) 움직씨 '베풀다'의 이름씨는 '베품'이 아니라 '베풂'입니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