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세 번째 의뢰인]
오늘도 날씨가 참 좋을 것 같네요.이 좋은 날씨만큼 좋을 일만 생기시길 빕니다.
요즘 제가 고민이 많습니다.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면 밤에 잠을 설치기 일쑤죠.어젯밤에도 잠이 안 와서 거실에 나와 텔레비전을 보는데,결혼식장에서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사가 한 말이 귀에 들어오더군요.“자, 조용히 하시고, 이제 찍습니다. 거, 왼쪽에서 두 번째분 좀 웃으세요!”
흔히 사진 찍을 때 들을 수 있는 말입니다.
오늘은, ‘첫째’와 ‘첫 번째’의 차이를 좀 알아볼게요.
‘첫째’는
사물의 차례나 등급을 나타낼 때 씁니다.나란히 있는 사람이나 물건의 차례를 나타내므로,‘둘째 줄의 셋째 학생, 첫째 줄의 둘째 책상’처럼 씁니다.반에서의 석차, 태어난 형제나 일의 순서, 책의 차례 등도 이 같은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장한 둘째 아들, 국문학 첫째 장, 학급 석차 열셋째 따위로 쓰죠.
‘첫 번째’는
연이어 계속해서 되풀이되는 일의 횟수를 나타내는 말입니다.첫 번째 경기(제일회전), 두 번째 경기(제이회전) 두 번째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 첫 번째 물음 따위로 쓰죠.
따라서,트랙을 세 번째 돌고 있는 선수,미국을 네 번째 다녀오신 선생님 등은 맞는 표현이죠.그러나
‘우리나라 선수단이 아흔세 번째로 당당하게 들어오고 있습니다’는 틀립니다.‘번째’는 되풀이되는 일의 횟수라고 했잖아요.입장식에는 어느 나라 선수나 한 번씩만 들어오지 않나요?우리나라 선수만 수십 번씩 들어올 리가 없잖아요.‘아흔셋째로’라고 해야 맞습니다.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큰 아프리카 대륙’도 틀립니다.‘둘째로 큰’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잘 사는 나라’도 마찬가집니다.‘둘째로 잘 사는’이 맞습니다.
언젠가 텔레비전 프로 ‘진품명품’에서 사회자가 한 말,“다음에는 세 번째 의뢰인을 모셔보도록 하겠습니다.”도 당연히 틀린 말입니다.‘세 번째 의뢰인’은 의뢰를 한 번하고, 두 번하고, 세 번째에 또 의뢰한 사람을 말하는 겁니다.사회자가 말하고자 하는
그 방송에서 첫째 소개, 둘째 소개에 이어 다음 소개하는 사람은,‘셋째 의뢰인’입니다.
어쨌든,‘번째’는 되풀이되는 일의 횟수라는 것만 기억하면 ‘째’와 ‘번째’를 헷갈리지 않으실 것 같네요.
오늘 저는,월간지에 네 번째 내는 원고 마무리해야 하고,제 책상 왼쪽 둘째 칸에 있는 책이나 좀 정리해야겠네요.
오늘 날씨만큼 행복하게 보내세요.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