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 받은 답장으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하겠습니다.
1. 며칠 전에 '달인'이 일본에서 온 낱말이라고 소개해드렸습니다.그 글을 보시고 보내주신 편지입니다.
......며칠 전 편지에 '달인'이라는 낱말이 일본어에서 온 말이라고 하셨고,달인을 갈음할 말을 알려 줄 수 없다 하셔서 사전을 좀 뒤적여 봤어요.
'달인'보다 '난사람'은 어떨까 싶네요.한글과컴퓨터 사전에 '난―사람[명사] 잘난 사람. 뛰어난 사람.'이라 되어 있고,
DAUM 국어사전에 '난-사람[품사:명사] 남보다 두드러지게 잘난 사람.'이라 되어 있고,국립국어원 대사전엔 '난-사람「명사」남보다 두드러지게 잘난 사람.'이라 되어 있네요.
'김병만은 개그의 난사람이다.'뭐 이렇게 써도 되지 않을까요??^^;;
달인(達人)【명사】
1. 학문이나 기예의 특정 분야에 뛰어난 사람. 달자(達者). ¶ ∼의 경지에 이른 솜씨.
2. 널리 사물의 도리에 통한 사람. ¶ 그는 보통의 떠돌이가 아닌 ∼의 풍모를 느끼게 한다.
달인을 대신하기에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은데요.제 생각에는..^^*
판―주다【타동사】 그 판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인정하여 내세우다.(한컴사전)판-주다 : 판주어(판줘), 판주니(품사 : 동사) 그 판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인정하여 내세우다.(다음사전)판-주다〔-주어(-줘), -주니〕「동사」【…을】그 판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인정하여 내세우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이런 말을 이름씨로 만들어서 써도 괜찮을 것 같고요.^^
2.어제 편지에서 '계란'이 아니라 '달걀'을 써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더니
아래와 같이 두 개의 편지가 왔습니다.
늘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닭의 알 -> 달긔알 -> 달걀 이렇게 어원의 설명도 곁드리면 어떨까요.예로 고등학교때 배운 기억으로는 제주도에서는 독새끼라고도 했다고 ...요즘 중국어를 거의 독학하고 있습니다.단어의 본 뜻과 중국, 한국에서의 활용이 조금씩 다른 것에 조금씩 놀라며 배웁니다.관문 : 중국에서는 닫는 문, 한국에서는 열어 들어가는 문
소심 : 중국 :주의를 기울인다, 한국 : 배짱이 없다.그리고 중국이 한나라, 한민족이 아니었다는 것이 언어에서 확실히 느껴지더군요.좀 더 일찍 중국어를 배웠더라면 하는 마음이 있었습니다.늘 수고하시는 데, 고마움을 전합니다.미국에서 ...
다른 한 편지입니다.
'온돌방'은 우리 토박이말입니다.
(아래 말들은 원래 우리 토박이말이라서, 한자로 적으면 안 됩니다.) 가게, 가난, 개천, 고집, 곤두(박질), 글자, 금방, 기별, 남편, 답답하다, 당부, 당신, 대문, 대신, 동산, 동생, 마련, 말짱, 모습, 미안하다, 반지, 배포, 사공, 사돈, 생생하다, 서방, 선물, 선사, 성화, 시중, 시집, 야단법석, 영낙없다, 우선, 이력, 잠깐, 장단, 장승, 재미, 재주, 전갈, 조심, 주책, 차례, 창피, 튼실하다, 판, 패, 편, 흐지부지, 노발대발, 농, 변죽, 보배, 본, 부실하다, 불한당, 비위, 생판, 수건, 시방, 신세, 안주, 예사, 온돌방, 온전하다, 장농, 표, 화, 흠. ..... 이밖에도 아주 많습니다. 이처럼 순 우리 토박이말들이 여러 국어사전에 한자말로 올라 있는 까닭은, (1) 조선총독부가 '조선어사전'이란 걸 만들면서 우리말 말살 정책의 하나로 우리말과 관련이 없는 헛것의 한자말을 많이 올렸고 (2) 한자숭배주의자들의 의도적인 한자 밑말 삼기 노력과 (3) 한자로만 적은 조선시대 책들에서 우리말을 어쩔 수 없이 한자로 음역해 표기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 그 밖에 (4) 우리말에 우연히도 중국 한자말과 발음이 같고 뜻까지 비슷한 것들이 있어 그런 오해가 생겼습니다.
<한말글연구회 회장 정재도>
고맙습니다.이렇게 같이 고민해 주시니 우리말이 하루가 다르게 깨끗해진다고 봅니다.
거듭 고맙습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