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어처구니가 없다]
안녕하세요.
갑자기 무슨
사진이냐고요?
이 바쁜 월요일 아침에 무슨 짓이냐고요?
어처구니가 없죠?
아니요.
제가 보기에는 어처구니가
있습니다.
이건 또 무슨 사진이냐고요?
정말로 어처구니가 없다고요?
맞습니다.
이것 어처구니가
없네요.
월요일 아침부터 무슨 실없는 소리냐고 말씀하실 것 같네요.
흔히,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는
경우에
어처구니가 없다고 합니다.
어처구니가 없는 일을 당하고 보니 한숨만 나온다,
하는 짓이 하도 어처구니가 없어서 화도
내지 못하고 있다처럼 씁니다.
이 ‘어처구니’가 바로 맷돌 손잡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입니다.
맷돌은,
곡식을 가는 데
쓰는 기구로,
둥글넓적한 돌 두 짝을 포개고 윗돌 아가리에 갈 곡식을 넣으면서 손잡이를 돌려서 그 곡식을 갑니다.
바로 이 맷돌에
손잡이가 없으면 어떨까요?
맷돌을 돌릴 수 없겠죠?
당장 곡식을 갈아서 밥을 지어야 하는데,
어처구니가 없어서 맷돌을 돌릴 수
없고,
그래서 곡식을 갈 수가 없다면...
덩치 큰 맷돌이 멀쩡하게 있는데,
나무로 대충 깎은 하찮은 어처구니가 없어서
그 맷돌을 쓸 수 없는 상황이 바로,
어처구니가 없는 상황이죠.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엄기영
앵커처럼...)
바로 여기서 나온 말이,
어처구니 없다는 말로,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이 편지의 맨 위에 있는 사진에는 ‘어처구니’가 있고,
바로 아래 사진에는 ‘어처구니’가 없네요.
맞죠?
우리말123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