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b 4, 2010

홍콩의 섬유시장 구조 및 특성 ....... TEXTOPIA

홍콩의 섬유시장 구조 및 특성

직물 Business를 수행하고 있는 한 누구에게나 익숙하고 친숙하기까지 한 홍콩시장, 누구나 동 시장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동 시장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향 후 좀 더 구체적이며 정밀도 있는 Business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동 시장에 대한 형성 과정과 그 구조 및 특성에 대하여 함께 정리해 보고 이에 따른 정보를 공유해 보고자 한다.

1. 홍콩의 산업 구조 및 형성 과정

이전에는 자유항의 이점을 살린 중계무역 및 중개무역을 경제의 기반으로 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 후 한때 중국이 금수정책(禁輸政策)을 취함에 따라 가공무역으로 전환하여 공업화의 길을 걸었다. 그 뒤 인구증가로 인한 값싼 노동력의 공급과 전통적인 자유개방경제에 의해 화교 • 일본 • 미국 등의 자본투자가 많아져 아시아 굴지의 가공무역기지로 변모하였다. 공업용수가 불충분하여 손재주가 있는 풍부한 중국인 노동력을 기반으로 하는 경공업 위주로 발달하였다. 지금도, 공업취업자의 약 70%가 섬유의류, 전기기구, 플라스틱제품, 완구, 시계 등 소비재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현지수출액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지금 현재 국내 총생산 대비 산업비율은 대략 무역 30%, 금융 25%, 서비스업 20%로 구성되어있다.

참고로, 홍콩은 1997년 중국으로의 반환 이후 10여 년 간 경제 생활에서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홍콩 체제의 성공적 실현으로, 경제지표는 전대미문의 성공을 거두어 이미 1997년을 상회하였다. 홍콩은 특수한 지리적 위치로 세계의 자유무역항이어서 홍콩의 대외무역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10여 년 간 연평균 5 ~ 6%로 안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중 특히 2001 ~ 2006년 연평균 증가율은 더 두드러지는 바 약 11%가 된다.

2. 홍콩의 섬유산업 및 수입 현황

홍콩은 전 세계적으로 미국, 중국에 이어 세 번째 섬유 수입대국이며 중국이 수입하고 있는 상당수 또한 홍콩의 구매 결정에 따라 이루어 진 것이다.  한편, 중국, 대만, 한국, 이탈리아 등지로부터 대부분의 섬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다. 홍콩 현지 섬유 제조업체들은 주로 Woven의 면직물을 제조하며 Knit, Silk, Linen, Wool, 모피, 합성섬유 등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섬유 수입품의 60% 이상이 중국에서부터 조달되며, 대만, 이탈리아, 한국, 일본이 전체 수입 섬유의 25 ~ 3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로, 가격대별 수입국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고가품: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독일
- 중상품: 미국, 일본, 한국
- 중하품: 대만, 한국
- 저가품: 중국, 파키스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3. 홍콩의 섬유산업의 변천

40년대 이래 무역량이 지속 증가하면서 섬유산업은 홍콩 경제의 발전 과정 중에 중요한 동력 요인이 되었다. 홍콩 섬유산업은 사회의 발전, 국제 정세의 변화, 시장의 변화에 따라 끊임 없이 변혁하였다. 홍콩 경제의 3차례 전환기에 따라 홍콩 섬유산업 역시 3차례 전환기를 가졌고, 현재도 여전히 전환에 대응하며 발전하고 있다.

첫 번째 전환기는 50 ~ 60년대로, 이 시기는 홍콩이 섬유산업 위주로 공업 발전을 주도하던 시기였다. 해외에서 면화를 수입하고 섬유제품을 제조하여 영국, 미국, 호주, 독일 및 동남아 등지로 수출하였다. 홍콩 섬유산업의 신속한 발전에 따라 의류산업 역시 촉진되었다. 이에 따라 1970년 홍콩은 단순한 중계무역항에서 공업화 도시로 변모하게 된다.

두 번째 전환기는 70 ~ 90년대로, 이 시기 홍콩은 경제 다원화 방침을 추진하였다. 특히 중국 경제가 점차 개방되는 기회는 홍콩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가장 중요한 외부 요소가 되었고, 홍콩의 제조업이 대부분 중국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각종 서비스업이 전면적, 고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홍콩은 섬유의류 제조 및 가공센터에서 섬유의류 총괄 생산제어센터와 무역센터로 변모하게 된다.

세 번째 전환기는 21세기 들어서면서부터 인데, 홍콩은 과학기술의 급속 발전으로 인한 위협과 경제글로벌화로 인한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여 홍콩 경제는 고부가가치 대열에 들어섰고 더욱 고부가 가치 서비스로 전이하고 있다. 한편, 세계 섬유의류산업의 변천에 따라 80년대부터 섬유산업 생산 중심이 홍콩에서 아시아의 기타 개발도상국(중국, 인도, 파키스탄 및 동남아 등지)으로 전이하게 되면서 주요 소비센터인 선진국과 생산센터의 분리를 일찍이 인지한 홍콩은 의류 무역을 빠르게 증대시켜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홍콩의 섬유의류산업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 및 가공지 외에 다국적 생산 망의 전략적 총괄 제어센터, 중국 섬유의류 생산기업의 구매 중추와 서비스센터로 자리매김을 하게 된다.

4.
홍콩의 지정학적인 위치와 중국과의 관계

홍콩은 중국 광동성 남부에 위치하고 남해를 향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마카오와 인접하고 북쪽으로는 심천 경제특구와 인접한다.  또한 홍콩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동아시아의 중심 지대로 우월한 지정학적인 위치를 갖고 있다.

중국은 홍콩 최대의 섬유의류 수입지이며 수입 비중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홍콩 정부 통계치의 통계에 의하면, 반환 직전인 1996년 홍콩이 수입한 중국 섬유의류는 176.57억$로 홍콩 섬유의류 수입액의 59%이었으나 2006년에 이미 257.13억$로 그 비중이 79%에 달했다. 참고로, 최근 홍콩 섬유의류 무역총액 중 60%가 의류, 40%가 원사 및 직물이다. 홍콩 반환 이후 중국과의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섬유 무역의 발전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와 2003년 사스로 인해 홍콩의 섬유 무역은 영향을 받았으나 빠르게 성장세를 회복하게 된 데에는 중국의 역할이 적지 않았다. 참고로, 2003년 6월29일 <중국과의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의 정식 체결로, 중국과 홍콩이 더 긴밀한 경제 협력을 하게 되었고, 민간 주도, 비정부 형식에서 정부 주도, 정부협조, 제어 강화의 새로운 모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CEPA로 인해 홍콩과 중국의 섬유 무역이 더욱 촉진되었으며 홍콩과 중국의 경제 관계가 갈수록 긴밀해져서 경제 융합도와 의존도가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CEPA는 2004년 1월 실시되어 이후 3차례 보완되었다.

5. 정세 변화에 따른 홍콩의 위상 변화

홍콩의 섬유의류기업은 다년간 미국, 일본, EU의 바이어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아직까지도 세계 바이어 자원과 서비스망을 빌어 세계 구매센터의 지위를 구축하고 있다. 매년, 많은 세계 섬유의류 바이어는 홍콩을 중개자로 하고 홍콩을 통하여 수출입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경제의 발전에 따라, 홍콩은 금융 및 서비스업 영역에서 빠르게 발전하였으나 섬유의류산업 영역에서는 섬유산업이 개발도상국으로 점진적으로 이전하게 됨으로써 홍콩 현지가 계속 위축되어 홍콩은 주로 중개무역항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섬유의류 무역은 홍콩 전체 무역에서의 비중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1996년 비중은 17%였으나 최근에는 약 10%로 하락하였다.  중국 세관 통계수치로 보면, 홍콩은 다년간 중국 섬유의류 수출의 최대 시장이었다.  그러나 2005년 후 쿼터 폐지의 영향을 받고 구미 시장에 대한 직접 수출이 급증하여 중국 최대의 섬유 중개시장인 홍콩은 중개 우위가 약화되어 미국, EU, 일본에 추월 당해 중국 섬유의류 수출시장에서 4위로 밀려났다.

2005년 쿼터 폐지되자 홍콩에 대한 수출은 연간 14% 하락하였으나, 구미가 중국에 대하여 다시 제한을 하게 되면서 중국 섬유의류 무역이 급증하여 2006년에 홍콩에 대한 수출이 21% 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보면, 홍콩의 중개무역항 지위는 세계 쿼터의 존재 여부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2007년 말 EU의 중국에 대한 쿼터 관리의 해제, 2008년 말 미국의 비 제한에 따라 홍콩의 중개무역항 우위는 한층 약화되게 되었다. 홍콩은 중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개발도상국이 빠르게 발전하고 포스트쿼터시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홍콩은 자신의 특색을 살리고 고부가가치 제품에 주력을 하고 외주가공기업의 지역 본부 역할을 하고 중국 섬유의류 생산의 가공서비스센터가 되어 적극적으로 치열한 경쟁 시대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홍콩의 금융기관 수는 런던 • 뉴욕에 이어 세계 제3위이며, 동남아시아의 금융센터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해운업은 무역입국의 생명선으로서 아시아 최대의 빅토리아항과 첸완에 세계 제3위의 처리 능력을 가진 컨테이너기지가 있다.

6. 홍콩의 의류 Buyer 현황과 구조 및 기능

홍콩에서 Business를 수행하고 있는 의류 Buyer들이 너무 많아 이에 대한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어느 정도 세계적으로 인지된 Brand와 관련하여 Business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Wholesaler / Garment Manufacturer 제외)로 추산되고 있다. 이 중 약 65% 정도가 미주, 30% 정도가 구주, 기타 5% 정도로 알려져 있다. 동 Buyer들을 Business 유형 및 특징에 따라 구분해 보면,

1) 대 구분
- 봉제 Buyer: Sample Yardage 공급이 필수
- Wholesaler: Sham Shui Po라고 하는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동 도매상들은 한 때,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직물 산업의 양적인 성장을 이끌었으나 아이러니컬 하게도 동 Buyer들로 인해 한국의 직물 산업의 질적인 퇴보 및 직물산업의 붕괴를 가속시키게 되었다. 군소 봉제공장을 대상 또는 제 3국으로 재수출 하는 Business를 주로 수행한다. 한편, 봉제 Buyer들의 소재 Sourcing처 및 Sample yardage 공급처의 숨은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2) 봉제 Buyer: Sample Yardage 공급이 필수
- Retailer들의 Branch Office (GAP, JC Penny, Macys, Marks & Spencer, Next, Esprit 등)
- Trading Company (Li & Fung 등)
- Buying Office/Buying Agent
- Garment Manufacturer: 홍콩에는 주로 Sample만 작업하고 본 공장은 대 부분 Hong Kong에 인접한 중국 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공 : KTC 홍콩 에이전트, 김현섭

*>> 도표,사진,첨부자료 등은 원문 참조 바랍니다.
1) 위에 "Site Link"라고 된곳에 주소를 "클릭" 합니다.
2)그러나 주소를 클릭 했지만 "로그인"... 등으로 나오는 경우는 해당 주소
(예 : www.kotra.or.kr, www.textopia.or.kr)를 직접 주소창에서 입력 하시고,
그 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무료) 하신 후 열람이 가능 하다는 의미 입니다.
위와 같이 직접 그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보다 많은 소중한 자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No comments: